암호학(Cryptology) 🔒
암호학은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언어학적 및 수학적 방법론을 다루는 학문이다. 이 학문은 암호화 기술을 연구하고, 정보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암호학 용어 🧑🏫
- 평문(Plaintext): 암호화되지 않은 원본 정보이다.
- 암호문(Ciphertext): 제3자가 읽을 수 없게 변경된 정보이다. 암호화된 데이터는 암호문으로 표현된다.
- 암호화(Encryption): 평문을 암호문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 복호화(Decryption): 암호문을 다시 평문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암호화의 기본 요소 🛠️
- 평문(Plaintext): 암호화 전의 원본 데이터이다.
- 알고리즘(Algorithm): 평문을 암호문으로, 암호문을 평문으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일련의 계산 절차이다.
- 키(Key): 암호화 과정에 임의성을 추가하기 위한 값이다. 키는 암호화의 강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암호화의 과정 🔄
암호화 과정:
- 평문(P)과 알고리즘(E), 키(K)를 사용하여 암호문(C)을 생성한다.
- **E(Encryption)**는 평문을 암호문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복호화 과정:
- 암호문(C)과 알고리즘(D), 키(K)를 사용하여 평문(P)을 복원한다.
- D(Decryption)는 암호문을 평문으로 복원하는 과정이다.
암호학의 종류 📚
암호학은 크게 초기 암호학과 현대 암호학으로 나눠진다.
- 초기 암호학: 컴퓨터 이전의 암호학으로, 기계적 방법으로 암호화가 수행되었다.
- 현대 암호학: 197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발전하였으며, 컴퓨터와 통신에 사용된다. 이 시점부터 알고리즘이 공개되어 있는 상태에서 키를 활용하여 암호화의 강도를 높이는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현대 암호화 기능 🛡️
현대 암호화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 기밀성(Confidentiality): 허가된 사용자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정보의 비밀을 보장한다.
- 부인 방지(Non-Repudiation): 정보를 송수신한 후, 그 사실을 증명하여 송수신 사실을 부인하는 것을 방지한다.
- 인증(Authentication):
- 사용자 인증: 정보를 송수신한 대상이 정당한 사용자인지 확인한다.
- 메시지 인증: 정보의 출처를 증명하고, 내용의 위변조 여부를 확인한다.
현대 암호화의 종류 🔐
- 단방향 암호화 (Hash): 암호화만 수행되고, 복호화가 불가능한 방식이다.
- 대칭 암호화(Symmetric Encryption): 암호화와 복호화에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 비대칭 암호화(Asymmetric Encryption): 암호화와 복호화에 서로 다른 키(공개키와 개인키)가 사용되는 방식이다.
- 하이브리드(Hybrid) 암호화: 비대칭 암호화로 키 교환을 하고, 대칭 암호화로 데이터 전달을 수행하는 방식이다.
현대 암호화 강도 결정 요소 🔑 KEY
암호화의 강도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에 의해 결정된다:
- 키의 길이: 키의 길이가 길수록 암호화의 강도가 높아진다.
- 키의 무작위성: 키가 무작위로 생성될수록 보안성이 강화된다.
- 키의 복잡도: 키가 복잡할수록 암호 해독이 어려워진다.
- 키의 비밀성: 키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철저히 보호되어야 한다.
'Crypt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방화벽 및 서버 구축 실습 (vm 4개로 서로 통신, log기록설정 등 해보기) (0) | 2025.05.27 |
---|---|
SSL - HTTPS, VSFTPS 구성해보기, 인증서 만들기 (0) | 2025.04.30 |
MITM(Man-in-the-Middle 공격과 인증서 (0) | 2025.04.25 |
암호화 - 단방향 암호(hash, MAC), 양방향 암호(대칭, 비대칭) (0) | 2025.04.23 |
SSH, SCP, firewalld, iptables 작동방식, 사용법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