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파일 다운로드,패키지 관리 프로그램 (RPM, DNF)

2025. 4. 16. 22:11·Linux

리눅스 계열마다 명령어의 차이가 있음


1. RPM (Red Hat Package Manager) 📦

RPM은 redhat 계열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


인터넷에서 .rpm으로 끝나는 파일을 직접 다운받아서 설치
사용자가 해당 프로그램 못 구하면 설치 못함
설치도 간단한 명령어로 설치 가능, 추가 업데이트 파일이 있으면 쉽게 명령어로 업데이트 가능, 삭제도 명령어로 가능.

장점:

  • 설치 및 업데이트가 간단하다.
  • 명령어를 통해 삭제도 쉽게 가능하다.

단점:

  • 사용자가 직접 .rpm 파일을 찾아서 다운로드 해야 한다.
  • 의존성 문제를 사용자가 해결해야 한다.

RPM 명령어:

  1. 설치:
    • .rpm 파일을 설치하는 명령어이다.
  2. rpm -ivh rpm파일
  3. 설치된 패키지 확인:
    •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확인할 수 있다.

 

  • -i (install): 패키지를 설치
  • -v (verbose): 설치 과정을 자세히 출력
  • -h (hash): 설치 진행 상황을 # 기호로 표시

 

  1. rpm -qa
  2. 특정 패키지 확인:
    • 특정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3. rpm -qa 패키지이름
  4. 패턴 검색:
    • 패키지 이름의 일부를 알고 있을 때, 패턴을 이용해 검색할 수 있다.
  5. rpm -qa | grep 패턴
  6. 패키지 삭제:
    • 특정 패키지를 삭제할 수 있다.
  7. rpm -e 패키지이름
  8. 의존성 무시하고 삭제:
    • 삭제할 패키지가 다른 패키지에 의존성 문제를 일으킬 때, 의존성을 무시하고 강제로 삭제할 수 있다.
  9. rpm -e 패키지이름 --nodeps

 


2. 소스 코드 컴파일 (Source Code Compile) 🖥️  사용X

소스 코드 컴파일은 프로그램 설치 파일이 아닌 개발자가 제공한 소스 코드 파일을 다운로드받아, 이를 직접 컴파일하여 설치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코드 파일에서 설치 파일을 만들어 설치까지 하는 과정이다.

장점:

  •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 전 단계에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단점:

  • 버전 문제, 환경 문제, 의존성 문제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사용자의 높은 역량이 요구되며, 제대로 된 설치 방법을 모르면 수많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 검증되지 않은 악의적인 프로그램을 설치할 위험이 존재한다.

3. DNF (YUM) 📡

DNF는 Red Hat 계열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배포 및 관리 프로그램이다.
사용자가 직접 패키지를 찾아서 다운로드할 필요 없이, 네트워크에 있는 패키지 서버에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DNF는 의존성 문제를 자동으로 해결하고,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도 자동으로 관리해준다.

 

인터넷에 저장소라는 곳이 있고 그곳에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있다.
yum=dnf를 치면 알아서 저장소에 있는 버전으로 업데이트,설치 등을 알아서 해준다.

장점:

  • 사용자가 직접 프로그램을 찾을 필요 없이, 패키지 서버에서 자동으로 다운로드 및 설치된다.
  • 의존성 문제를 자동으로 해결해준다.
  • 저장소에서 최신 버전으로 자동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단점:

  • 네트워크가 반드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 저장소에 원하는 패키지가 없으면 설치가 불가능하다.
  • 저장소에 문제가 생기면 다운로드와 설치가 불가능하다.
  • 불필요한 패키지가 설치될 수 있다.

패키지 설치 과정: 예시 🔄

A 프로그램 설치해야 할 때

  1. A 프로그램 설치 여부 확인:
    • A 프로그램이 이미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rpm -qa

 

  1. 설치되지 않았다면, A 프로그램 다운로드 후 설치:
    • DNF로 설치:
      dnf -y install A

       
      • RPM 파일로 직접 설치
rpm -ivh A.rpm

 

  1. 설치 확인:
    • A 프로그램이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rpm -qa A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네임서버와 보조네임서버 구성 방법, 설정방법  (0) 2025.04.21
find 명령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조건에 맞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찾는 방법  (0) 2025.04.16
리눅스 권한  (0) 2025.04.16
리눅스의 확장 권한, 파일 속성, 프로세스 관리, 백그라운드 실행 방식  (0) 2025.04.16
DNS 이름 해석 구조부터 Zone 파일 구성까지 정리  (0) 2025.04.16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주네임서버와 보조네임서버 구성 방법, 설정방법
  • find 명령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조건에 맞는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찾는 방법
  • 리눅스 권한
  • 리눅스의 확장 권한, 파일 속성, 프로세스 관리, 백그라운드 실행 방식
햅삐root
햅삐root
happyroot 님의 블로그 입니다. IT 보안 정리💛
  • 햅삐root
    햅삐한 root
    햅삐root
  • 전체
    오늘
    어제
    • 전체보기 IT (123)
      • Linux (21)
      • Network (23)
      • packet tracer& GNS3 (10)
      • Cryptology (7)
      • WEB (16)
      • DB (16)
      • Hacking (28)
  •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Hack
    injectionvector
    sqlinjection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4
햅삐root
리눅스 파일 다운로드,패키지 관리 프로그램 (RPM, DNF)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